본문 바로가기
  • Gamma-Log
심리학

범죄심리학이란

by 감자악마 2024. 4. 19.
반응형

범죄심리학, 법
범죄자들의 심리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

 

범죄심리학의 정의

범죄심리학은 범죄와 범죄자의 심리적 측면을 다루는 학문으로써, 범죄자의 행동을 심리학적 원리로 탐구하는 분야이다. 심리학이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범죄심리학은 범죄적 행동 또는 범죄행동의 심리학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범죄심리학은 개인의 내적 특성에 주목하여 범죄의 원인, 범죄자의 인지적·성격적 특성, 범죄 행동의 개인차, 범죄자의 치료 및 재범 방지를 통한 범죄의 예방 등 다양한 분야를 그 연구 대상으로 한다. 또, 범죄자에 대한 지식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체계화함으로써 범죄자를 보다 타당하게 이해하려는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범죄나 비행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 중에서 심리학이 대상으로 하기 쉬운 문제에 관하여 심리학적 이론과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는 인문과학의 일부분이다.

 

반응형

 

범죄심리학의 연구주제

과거 범죄심리학의 연구주제는 범죄의 원인에 대한 연구에 한정되었다. 대부분의 범죄를 사회현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범죄학의 분파로 범죄의 원인을 거시적인 사회에 돌리지 않고 개인적 요인 때문이라 여기는 일종의 개인 내적 범죄원인론으로 취급되어 왔다. 따라서 범죄를 행한 개인의 특수성을 탐구하는 다수의 연구가 소개되었고, 어떤 이는 외모에서, 어떤 이는 유전적 소양에서, 폭력적인 범죄의 원인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일부 연구는 실증적으로 검증에 성공하기도 하였으나 그렇지 못한 가설도 많았다. 범죄의 원인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던 범죄심리학적 연구는 한동안 실증적으로 입증되지 않는다는 문제점과 범죄와 유관하다는 것이 밝혀졌음에도 그 영향력이 매우 미미하다는 점이 지적되어 한동안 범죄원인론 중 주목을 받지 못하는 이론들로 전락할 위기를 맞기도 하였다. 하지만 인간행동의 원인을 밝히는 데 있어 최근 연구방법론의 눈부신 발전은 심리학적 범죄원인론이 다시 빛을 발하게 하는 주요한 계기가 되었고 그에 따라 최근 뇌의 기능적 원리와 연관시켜 인간행동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범죄연구의 주레를 다시 한 번 인간 내적 기능의 저하와 손상으로 회귀시켰다.

범죄의 실증적 연구 중 심리학적 원인을 찾고자 하는 연구는 1980년대 이르러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주로 범죄행동에 대한 심리적 원인, 범행동기 등을 밝히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범죄에 대한 심리학이론의 적용이나 살인

·강간 ·성범죄 ·아동학대 등 특정 문제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도 범죄심리학의 주요 연구주제가 되고 있다. 또한 미국에서는 범죄심리학적 연구결과가 재판에서 범행의 심리적 원인이나 범죄자의 심리특성을 증거로 채택하는 절차, 목격자 증언의 정확성 정도, 범죄자의 정신감정 등 사법절차와 연관하여 활발하게 활용되어 법정심리학이라는 매우 전문화된 영역을 형성하기게 이르렀다.

 

 

범죄심리학의 연구영역

미국의 경우 범죄심리학이 독자적 학문분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대신 범죄심리학적 연구주제가 다양한 분야로 나뉘어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범죄학, 법과학, 행동과학, 형사정책, 법심리학, 법정심리학과 같은 분야에서 심리학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비해 영국의 경우에는 범죄심리학이라는 용어가 학술지 등에서 익숙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수사심리학 등과 함께 매우 활발하게 연구물을 산출하는 전문화된 연구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최근에는 북미 지역의 법정심리 분야에서의 활용이 유입 ·강조되면서 법접 ·범죄심리학이란 용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범죄심리학이라는 영역은 특정 범죄인의 심리기제를 연구하는 미시적인 연구영역뿐만 아니라 형사사법 절차에 포함되는 경찰 ·법원 ·교정단계에서 활용되는 광의의 심리학적 연구영역까지를 포함한다. 즉, 범죄심리학은 범죄자의 범죄 원인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이를 형사사법 분야에 적용하여 유무죄를 판단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확보하고 죄질의 경중을 판단하며 궁극적으로는 범죄를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영역인 것이다.

반응형